닫기

선학소식

SUNHAK PEACE PRIZE

선학소식

자연과의 관계는 궁극적으로 우리의 운명을 결정할 것이다.

페이지 정보

Write SHPP Date20-06-25 09:28 Hit268

본문

 

d5edb49e1e32410e1053ce49bd145c4f_1593044762_5887.jpg

 



Financial Times
2020.06.17

 

유엔을 이끌면서 나는 세계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갖게 되었다. 짧은 시간 안에 남극 대륙에서 빙하가 녹고 태국과 파키스탄의 엄청난 홍수와 2011년 일본의 쓰나미, 미국의 허리케인 샌디를 보았다. 2011년 9월 남태평양 키리바시 섬에서 상승하는 바다가 집을 파괴할까봐 잠을 이루지 못하는 어린 소년을 만났다.

 

나는 인류가 직면하는 가장 큰 도전들은 상호 연관되어 있다는 것을 배웠다. 나는 위기에서 살아남고 살아나는 것은 국경과 국익을 넘어 함께 일할 수 있는 우리의 능력에 달려 있다는 것을 보았다. 그리고 나는 자연과의 관계가 궁극적으로 우리의 운명을 결정할 것이라는 것을 이해했다. 평형을 지키지 못하면 가장 취약한 쪽이 먼저, 그리고 가장 큰 피해를 보게 된다.

 

코비드-19가 그 어느 때보다도 연결성이 높으면서도 점점 분열되고 내면으로만 들여다보는 세계로 빠르게 퍼져나가면서 이러한 교훈들이 다시 눈앞에 떠올랐다. 대유행은 우리 사회를 뿌리째 흔들었고 우리의 협력 능력을 시험했다.

 

이제 세계 지도자들은 복구 패키지를 위해 전례 없는 자금을 투입하고 있다. 그들의 선택은 앞으로 수십 년 동안 우리의 경제와 사회를 형성할 것이고, 우리가 깨끗한 공기를 마시는지, 지속 가능한 저탄소 미래를 창조하는지, 그리고 어쩌면 한 종으로서 살아남을지도 결정할 것이다.

 

현재의 대유행은 잔인했지만, 우리가 앞으로의 도전들을 해결하기 위해 우리의 회복을 설계하지 않는 한 더 심해질 것이다. 대기 오염은 코로나 바이러스의 영향을 훨씬 더 악화시켰고 대기오염과 연관된 많은 다른 조건들이 매년 700만명의 사망케 한다. 또한 대기오염은 우리의 존재를 위협하는 기후변화와 같은 근본 원인을 많이 가지고 있다. 

 

마찬가지로, 코비드-19는 인류가 유형적이고 빠르게 움직이는 위협에 직면했을 때 무엇이 가능한지를 보여주었다. 정부의 봉쇄로 인해 대기질이 거의 즉각적으로 개선되었다. 빠른 대응과 광범위한 준수는 우리가 만약 보건적 의무와 정치적 의무가 존재한다면 우리의 행동을 바꿀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우리는 사람들이 변화를 원한다는 것을 안다. Clean Air Fund에 의해 의뢰된 새로운 YouGov 여론조사에 따르면 불가리아, 인도, 영국, 나이지리아, 폴란드 등 전 세계 다양한 지역에서 최소한 2/3의 시민들이 대기오염을 해결하기 위한 더 많은 법과 집행을 지지하고 있다. 경제가 다시 시작되면서, 독성 공기로의 복귀는 단순히 하나의 건강 위기를 또 다른 건강 위기로 대체할 것이다. 

 

정부는 이런 문제들을 해결할 더 나은 기회를 결코 갖지 못할 것이다. 그들은 구제금융의 구조를 구제하는 경제분야들이 화석 연료를 절약하도록 만들 수 있다. 그들은 녹색 일자리, 재생 에너지, 청정 기술을 우선시할 수 있다. 

 

그들이 깨끗한 공기를 마실 수 있도록 취할 수 있는 구체적인 조치들도 있다. 런던과 밀라노를 포함한 세계 대도시들의 지도자들은 이미 더 깨끗한 에너지와 기술을 사용하기 위해 도시 센터의 용도를 변경하고 있다. 그들은 우리가 차에서 내려 도보로, 자전거로, 또는 장기적으로 대중 교통을 통해 이동하도록 이것을 가능하게 하는 인프라에 투자하고 있다. 이러한 아이디어들은 다른 곳에서도 확장되고 반복되어야 하며, 국가 정부의 지원을 받아야 한다.

 

하지만, 우리는 이 분명한 기회를 놓칠 수도 있다. 미국과 중국 같은 나라 정부들은 위기 동안 환경 규제를 풀었다; 계속해서 휴식을 취하거나 평상시처럼 업무에 복귀하는 것은 재앙이 될 수 있다.

 

우리 대한민국에서는 대유행 이후 새로운 삶의 방식을 모색하는 그린뉴딜을 도입하고 있다. 우리는 기후 변화와 대기 오염을 불평등과 빈곤과 같은 유엔 지속 가능한 개발 목표의 다른 요소들과 함께 해결하고, 우리의 국경을 초월하여 살펴보기를 원한다. 그래서 우리는 지역 대기오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일본, 중국과 협력을 늘리고 있다.

 

그러나 이런 유망한 첫걸음으로는 충분하지 않을 것이다. 7월에는 G20 재무장관들이 모여 대유행 사태에 대한 집단 대응을 검토할 예정이다. 9월 7일, 유엔은 제1회 ‘청정한 하늘을 위한 국제 공기의 날’을 조직하고 있다. 그리고 관심은 우리의 마지막 기회인 2021년 COP26 정상회담으로 쏠리고 있다. 정부는 2015년 파리 기후 협약에 따라 깨끗한 공기와 기후 정의를 복구 계획의 핵심에 둘 수 있는 기회를 잡아야 한다.

 

이것은 쉽지 않을 것이지만 할 수 있고 또 해야 한다. 대유행은 큰 타격을 입혔지만, 그것은 단지 다가올 일의 맛보기일 수도 있다. 우리는 우리 자신과 미래 세대에게 더 발전된 모습으로 재건축해야 한다. 

 

<출처> https://www.ft.com/content/1e63ae1f-9d1a-4d29-9979-0ab463456032


 

8F, 34 Mapo-Daero, Mapo-Gu, Seoul, Korea 121-728 Sunhak Peace Prize Committee     Tel: 02-3278-5160
Fax: 02-3278-5198     E-mail: sunhakprize@gmail.com
Copyright ©2017 SUNHAK PEACE PRIZE All rights reserv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