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평화이슈

SUNHAK PEACE PRIZE

평화이슈

흑인의 목숨도 소중하다(BLM) 시위 – 아랍권에서 인종차별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키다

페이지 정보

Write SHPP Date20-07-20 20:17 Hit348

본문

미국에서 시작된 '흑인 목숨도 소중하다' 시위는 아랍권을 포함한 세계 다른 지역에서 인종차별에 대한 논쟁을 촉발시키고 있다. 그것은 일부 사람들에 의해 "현대판 노예제"라고 불리는 카팔라 제도에 조명을 비치고 있다. 이 제도는 모든 노동자들이 비자와 법적 지위를 책임지는 국내 스폰서를 갖도록 하고 있는데, 그것은 이민 노동자들을 착취하는 시스템이 되었다. 

 

 

d2762715ca8f49fcf9d35416208353cb_1595243670_0286.png

레바논 고용주로부터 버림받은 후 에티오피아인 가사노동자가 64일 베이루트 동쪽에 있는 하스미에의 에티오피아 영사관 앞에서 기다리고 있다. (하산 암마르/AP)

 

 

에티오피아 여성은 가정부라는 직업으로부터 아무런 경고도 없이 해고된 후 레바논의 고용주에 의해 고속도로변에 버려졌다고 말했다.

 

최근 몇 주간의 경제 위기 동안 수십 명의 다른 에티오피아 국내 근로자들이 고용주로부터 버림받고 있다. 이 여성의 고용주도 영사관 밖에 그녀를 남겨둘 생각이었으나, 바깥의 취재진에게 들킬까 두려워 영사관 도착하기 전에 그녀를 내리게 했다. 티기스트라는 이름의 이 여성은 고용주가 여권과 핸드폰을 돌려주지 않고 그녀가 받아야 하는 올해의 연봉 또한 지불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외국인들을 노동법에서 배제하고 고용주의 변덕에 본인의 거주지, 그리고 운명을 맡겨야 되는 "카팔라" 제도 하에서 국내 노동자에 대한 학대는 아랍 세계에서 오랫동안 문제가 되어 왔다.

 

그러나 조지 플로이드의 살해로 촉발된 인종차별에 대한 세계적인 소동은 아프리카와 아시아에서 종종 피부가 검은 이주 노동자들의 처우에 대한 경악감을 고조시키는 데 기여했으며 아랍인들 사이에 그들 사회의 인종차별에 대한 폭넓은 논쟁을 촉발시켰다.

 

레바논 휴먼라이츠워치 연구원인 아야 마조브는 "흑인생명과 맞물린 이번 위기는 사회가 카팔라 체제에 내재된 제도적 인종차별과 이주 노동자들을 대하는 방식에 직면하도록 강요했다"고 말했다. 그는 "이주 가정 노동자에 대한 학대가 '몇 명의 나쁜 고용주'에 의한 것이 아니라, 사회가 이 여성들을 2등 인간으로 대우할 수 있도록 하고 장려하는 제도에 의한 것이라는 사실을 사람들은 이해하기 시작했다"고 말했다.

 

최근 몇 주 동안 미국의 시위는 아랍권의 뿌리 깊은 인종주의에 스포트라이트를 돌렸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사람들의 환호를 받고 있다.

 

아랍 세계에서 사람들은 흑인들을 지칭하기 위해 종종 경멸적인 단어를 사용한다; 버락 오바마 대통령은 종종 "al-abd" 또는 "노예"라고 불렸다.

 

전통 수제 시리아 디저트 이름에도 같은 단어가 사용되는데, 코코넛 플레이크로 덮인 대추로 만든 '라스 알압드' 즉, '노예의 머리'라고 불린다. 이 이름은 또한 10년 전 제조사가 그것을 fez의 아랍어인 Tarboosh로 바꾸기 전까지 레바논 초콜릿과 마시멜로 간식에도 오랫동안 붙여졌다.

 

'흑인의 목숨도 소중하다' 운동에 지지를 보이려 했다는 아랍계 유명인사 두 명이 최근 온라인에 블랙페이스로 자신의 사진을 올렸다. 모로코 여배우인 한 명은 이후 비난에 직면하자 사진을 내려놓았다. 다른 한 명인 레바논 가수는 포토샵으로 피부를 검게하고 앞으로 머리를 한 자신의 사진을 올렸는데 이 가수는 "평생 나는 흑은이 되는 것을 꿈꾸었다"고 썼다. 그녀는 그 사진을 연대의 행위라고 옹호했다.

 

그러나 아랍 세계의 인종차별주의가 에티오피아, 가나 및 다른 아프리카 국가들의 국내 근로자들뿐만 아니라 인도네시아와 필리핀의 어두운 피부색의 아시아인들에게도 피해를 주면서 가장 악랄하게 느껴지는 것은 카팔라 고용 제도를 통해서이다.

 

이 직원들은 때때로 육체적, 심리적, 성적 학대를 당하지만 의지할 곳이 거의 없다. 그들은 종종 집 안에 갇혀 지내고 신분증을 뺏긴다. 카밀 아부슬레이만 전 레바논 노동부 장관은 카팔라를 "현대판 노예제"에 비유했다.

 

지난 6월 말 에티오피아 가정부 하와 씨는 레바논 고용주의 구타가 너무 격렬해져 목숨이 걱정된다고 말했다. 그녀는 1년 동안 급여를 받지 못했다고 말했다. 그녀는 인터뷰에서 "그들이 나를 죽였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녀의 코와 얼굴에서 피를 많이 흘리는 것을 본 베이루트 택시 운전사는 그녀를 무료로 병원으로 데려가겠다고 했지만, 그녀는 에티오피아 영사관에 가겠다고 고집했다.

 

그녀는 최근 하루 동안 영사관 밖에서 있는 십여 명의 에티오피아 여성들 중 한 명이었다. 대부분은 고용주가 그들의 여권이나 핸드폰을 돌려주지 않았다고 말했다.

 

호와나 티기스트 같은 여성들은 전통적으로 에티오피아의 가족에게 달러를 보낸다. 그러나 레바논의 경제위기가 악화되고 있는 가운데, 특히 코로나바이러스 발생 이후 많은 가정들이 더 이상 직원들에게 급여를 지불할 수 있는 화폐를 가지고 있지 않으며, 몇몇 가정들은 그들을 길가에 버리기로 결정했다.

 

"그럼 이제 코로나가 있고, 돈도 없으니 그냥 나를 내팽개쳐?" 하고 호와는 씁쓸하게 말했다.

 

풀뿌리 운동가들은 버려진 여성들에게 옷, 음식, 그리고 피난처를 제공해 왔다. 일부 가나 여성들은 최근 비행기로 귀국했다.

 

마조브는 베이루트 도로변에 갑자기 노동자들이 버려지는 것은 "이 노동자들을 인간 이하의 존재로 취급하는 카팔라 제도의 자연적인 정점"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그녀는 "그동안 우리가 봐왔던 이런 끔찍한 장면들로 인해 발생한 분노는 마침내 제도 개혁에 착수할 수 있는 많은 모멘텀을 만들어냈다"고 말했다.

 

카팔라 제도는 레바논뿐만 아니라 걸프 아랍 국가 전역과 전쟁 전 시리아에도 만연해 있다. 학대를 보여주는 많은 비디오들이 지난 몇 년 동안 표면화되었다. 최근 소셜미디어에는 페르시아만 출신의 한 남성이 자신의 아프리카 가정부를 향해 더러운 생리대 위에 물을 붓고 마시라고 소리치는 영상이 유포됐다. 한 여자가 뒤에서 그를 부추겼다.

 

마조브는 "결국 카팔라에는 인종차별의 요소가 있다"면서 "이 노동자들을 마치 하인처럼 보고, 그들에게는 사생활과 그들의 희망과 꿈과 포부가 없는 것처럼 보는 것에도 인종차별적 요소가 있는것이다"고 말했다.

 

티기스트는 그녀가 받아야 할 급여를 고용주에게 지불할 것을 요구했던 것을 다시 말했다. 그녀의 고용주는 요구를 그만두게 하라는 그의 아내의 거듭된 독촉에 티기스트를 때렸다. 

 

티기스트는 "그녀는 자신이 원하는데로 할 수 있지만 알라는 보고 있다"고 뜨거운 눈시울로 분노로 떨리는 목소리로 말했다.


<출처> https://www.washingtonpost.com/world/middle_east/black-lives-matter-protests-spark-debate-over-racism-in-the-arab-world/2020/07/07/83234c5e-b7ab-11ea-9a1d-d3db1cbe07ce_story.html

 

8F, 34 Mapo-Daero, Mapo-Gu, Seoul, Korea 121-728 Sunhak Peace Prize Committee     Tel: 02-3278-5160
Fax: 02-3278-5198     E-mail: sunhakprize@gmail.com
Copyright ©2017 SUNHAK PEACE PRIZE All rights reserved.
-->